[ETF] 미국채권과 장기국채 ETF TLT 설명 및 총 정리

금리가 상승하면서 채권가격이 하락하고, 좋은 투자처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주식 / 코인 등 변동성이 심하고, 시장이 좋지 않을 때 현금 대신 위험 분산을 위한 투자처.

채권에 대해서 그 중 지구상에서 제일 안전하다고 할 수 있는 미국 채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채권을 쉽게 투자할 수 있는 ETF – 그 중 TLT에 대해 알아보고 성투하도록 합시다

 

채권이란?

채권이란 정부나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일정금액의 이자를 지급하겠다고 약속하는 증권을 말합니다.

말이 어렵죠? 간단하게 기업과 정부를 담보로 돈을 맡기면 이자를 주겠다는 얘기입니다.

미국채권은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미국의 신용도에 기초하여 발행됩니다.

미국채권에는 만기가 다른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1년 만기의 빌(Bill), 2년 만기의 노트(Note), 10년 만기의 노트, 30년 만기의 본드(Bond) 등이 있습니다.

 

채권 시장의 특징

채권 가격은 금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은 상승하고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합니다.

금리가 하락한다 = 채권 금리가 하락한다 = 채권 가격이 상승한다 = TLT 가격이 상승한다

금리가 상승한다 = 채권 금리가 상승한다 = 채권 가격이 하락한다 = TLT 가격이 하락한다 

즉, 채권 가격은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금리 변동성이 큰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장기채의 가격 변동성이 더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TLT 5년 주가

TLT(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TLT는20년 이상 장기 만기의 미국채권에 투자하는 ETF(상장지수펀드)입니다.

최근 금리가 인상하면서 TLT가격은 떨어지게 되었고, 투자하기에 좋은 시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TLT는 장기 미국채권의 가격 변동성을 추적하기 때문에, 미국 장기금리의 변화 추이를 보여줍니다.

운용 자산의 평균 만기는 25년으로 장기 국채 전체 시가총액의 95% 이상을 추적합니다.

수익 구조는 장기 국채의 가격 변동과 이자수익에 연동되어 있습니다.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에 따라 수익률 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장기 금리의 변동성 움직임을 대표하기 때문에 경제주기에 따른 성과 차이가 크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주로 장기채권 보유를 통한 이자수익 확보 및 통화정책에 대한 베팅 차원에서 주로 활용됩니다.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높고 거래 비용이 적은 ETF 상품이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편입니다.

 

미국채권 영향 요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Fed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미국채권 가격이 하락합니다.

채권 가격은 금리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 주변국 경제 성장 및 상황

미국의 경기침체나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면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발생하여 미국채권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주요국의 경제상황과 금리 수준입니다. 유로존이나 일본의 초저금리 기조는 미국채권의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의 영향도 받습니다. 미중 무역전쟁이나 규제 리스크가 커지면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미국채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채권 변동성 예측 투자 전략

이자율 변동성 지수(MOVE)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MOVE 지수는 미국채권시장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향후 변동성 확대 여부 판단에 도움이 됩니다.

VIX(변동성 지수)입니다. 시카고 옵션거래소(CBOE)가 산출하는 볼레티리티 지수로, S&P500 지수 옵션의 내재변동성을 나타냅니다.

주가변동성 지수인 VXN(나스닥 100 변동성 지수)RVX(러셀 2000 변동성 지수)입니다. 해당 주가지수의 미래 변동성 기대수준을 추정합니다.

투자자 정서지수(II)입니다. 다양한 설문을 통해 투자심리를 조사, 변동성 확대 시기 투자자 심리 분석에 도움을 줍니다.

시장 리스크 기대수익 비율인 셰르프 비율도 유용한 변동성 지표입니다. 향후 기대리턴 대비 위험수준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채권으로 포트폴리오 구성해서 위험 헷징하시고 성투합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