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코인 시장 헤드라인
“KakaoBank, CBDC 중단 이후 스테이블코인 시장 선도 노린다”
어제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금융 당국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파일럿 중단을 선언하며 민간 대체재 역할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카카오뱅크가 스테이블코인 발행 계획을 추진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으며, 이는 정부의 규제 전환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이런 변화는 민간 금융 주체들이 자체 디지털 자산 발행에 대한 가능성에 탐색 중임을 보여줍니다.
또한 국내 거래소 시장에서는 업비트와 빗썸이 성장세를 보이는 반면, 코인원은 자산 매도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이는 시장 내 플랫폼 간 양극화가 심화 중임을 시사합니다.
글로벌 차원에서는 비트코인 ETF 시장에 약 $9,150만(USD) 규모의 자금 유입이 재개되며 4일간 이어진 유출 흐름을 반전시켰습니다.
이는 투자 심리 회복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규제 전환, 플랫폼 격차, ETF 자금 흐름이 맞물리며 코인 시장의 구조 변화와 투자자 관심의 재조정이 진행 중입니다.
2. 부동산 및 국내 부동산 헤드라인
“7월 CPI 상승률 2.1%로 둔화… 금리 인하 재점화 조짐”
한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2.1% 상승하며, 지난 6월의 2.2%보다 둔화되었습니다.
이는 예상과 부합하는 결과로, 물가 압력이 한풀 꺾였다는 신호로 해석되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논의에 다시 힘이 실릴 수 있는 환경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6월 한국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경상수지 흑자가 $131.6억 규모로 집계되며, 이는 2017년 9월 이후 최대 규모의 흑자입니다.
반도체 및 컴퓨터 장비 수출이 그 성장세를 이끌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국내 부동산 시장에도 파급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낮아진 물가 상승 압력과 수출호조가 시장 기대심리 회복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습니다.
3. 국내 주식시장 헤드라인
“코스피, 세제 개편 발표 하루 만에 3.9% 급락… 외국인 매도 확대”
한국 증시(KOSPI)는 새 정부의 세제 개편 발표 이후 하루 만에 3.9% 급락, 외국인 투자자들이 약 ₩6,540억 매도하며 급격한 투자 심리 위축이 나타났습니다.
이후 여당은 일부 조정 여지를 열어두며 정책 논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금융권은 이번 조치가 투자 심리를 흔들고 있으나, 일부 기관은 한국 증시의 낮은 PER와 ‘Corporate Value-Up 프로그램’, 골드만삭스의 오버웨이트 의견 유지, KOSPI 목표치 제시(3,500포인트)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 중입니다.
정치권 내부에서는 ‘KOSPI 5,000’ 비전과 상충되는 정책이라는 비판도 있으며, 일부 법안 추진 과정에서 내부자 거래 의혹이 불거지며 여당의 정책 추진 부담을 더하고 있습니다.
4. 미국 주식 및 글로벌 시장 헤드라인
“미국은 경기 둔화 신호… 그러나 여전히 금리 인하 기대와 기술주 강세”
미국 경제는 노동시장 둔화, 서비스업 지표 후퇴 등 실물 지표의 약세 신호가 감지되며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여전히 커지고 있습니다.
일부에선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증권시장에서는 S&P 500이 –0.1%, 다우가 –0.5%, 러셀 2000이 –0.3%, 반면 나스닥만 0.3% 상승하는 등 업종별 혼조세가 나타났습니다.
전반적으로는 기업 실적 호조(특히 기술주), 금리 인하 기대가 주가 방어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처럼 미국 주식시장은 경기 회복과 정책 기대 사이에서 복잡한 신호가 교차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5. 경제 전반 및 글로벌 무역 헤드라인
“한국 LEI, 수출·재고 등을 기반으로 6월에 1.0% 상승… 성장 전망 긍정적”
The Conference Board에 따르면 한국의 선행지수(LEI)가 6월 기준 111.4로 전월 대비 1.0% 상승, 동행지수(CEI)는 108.6으로 0.3% 상승했습니다.
이는 GDP 성장 전망에 긍정적이며, 특히 수출, 재고→출하비율 등이 개선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글로벌 관점에서도 높은 미국 관세(평균 18.6%)가 시행됐으나, 한국에 대한 관세는 15% 수준으로 무역합의 잠정 타결된 점은 무역 불확실성 일부 완화로 평가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거시 경제의 리스크를 관리하면서도, 성장 여력 확보 가능성을 보여주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